우리들의 성장일지 (23)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Bean 수동/자동 등록 (Feat.BeanConfig & Spring IoC 컨테이너) 들어가며안녕하세요!이번에 퇴사 후 약 2달간의 휴가를 마치고 돌아온 백엔드 파트 오일우라고 합니다.백엔드 파트리더 종하가 초기구성한 OASIS 프로젝트를 차근차근히 분석해 나가면서 회원가입/로그인기능을 구현해 나가고 있는데요.원래는 전에 회사에서는 레거시 형태의 소스들을 많이 다루었었고, 일에 쫓기다 보니 스프링에서 당연하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나 스프링 내부에서 돌아가는 원리들을 크게 생각하지 않고 기능 개발에만 집중했었습니다.그래서 이번에는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이전에는 그냥 지나치고 넘어갔던 궁금증과 모르는 단어와 개념들을 잘게 쪼개나 가면서 파악해 가며 개발을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본론그래서 처음으로 눈에 들어온 부분이 `BeanConfig` 였는데요.우선 @Bean을 등록한다는 의미는 스프링에.. 고객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개요.안녕하세요. 팀 껌딱지에서 백엔드파트를 맡고 있는 건우입니다. 오늘은 백엔드 파트에서 고객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기획과 개발 단계에서는 새로운 고객을 유입시키거나 기존 고객이 다시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이후 서비스를 운영할 때 고객 만족도와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저의 생각은 서비스가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고가용성(HA)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입니다.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고가용성의 의미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인 이중화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고가용성 (High Availability).우선 가용성이 무엇일까요?가용성(可用性, 영어: availability)이란 서.. [팀 껌딱지] 우리 팀은 티켓 주도 개발을 이렇게 사용해요! 시작하며안녕하세요! 껌딱지 개발팀에서 기술 리드이자 백엔드 파트 리드 및 개발을 맡고 있는 BackEnd 개발자 종하입니다! 오늘은 다들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티켓 주도 개발에 대해서 얘기 해보고자 합니다.티켓 주도 개발이란 이슈 트래커에서 티켓을 발급하고 그 티켓에 작성된 스펙에 맞춰 개발하고 커밋 내용에 티켓 번호를 입력하는 등 티켓과 개발 결과물을 직접적으로 연결 짓는 개발 방식입니다. 하지만 이 티켓 주도 개발도 팀 별로 각각 다양하게 각자의 팀에 맞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데요, 저희 팀에서는 티켓 주도 개발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공유하려고 합니다!개발이 하고 싶어? 티켓부터 발급해!저희 팀은 Jira라는 이슈 트래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개발을 하기 전에 지라에 들어가서 티켓부터.. [팀 껌딱지] PWA 만들기 시작하며안녕하세요, 껌딱지 팀에서 프론트엔드 파트를 담당하고 있는 주민규입니다.오늘은 PWA 만드는 법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PWA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장점이 있는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https://ggumttakji.tistory.com/9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PWA 만들기 전 주의사항pwa를 만들기 위해서는 ssl 인증을 받은 url이 필요합니다.https로 시작하는 url을 꼭 준비해 주세요! manifest 파일을 미리 만들어두어도 좋습니다! PWA 만들기1. pwabuilder 페이지에서 url을 입력한 후 start 버튼을 클릭합니다.클릭하면 잠깐의 로딩 후 어떤 부분을 추가로 채워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2. manifest 채우기필수로 채워야 하는 옵션들을 채워 주고, 추가.. [팀 껌딱지] 서비스 블루프린트(Service Blueprint)란? 시작하며안녕하세요 팀 껌딱지의 PM 민혜입니다!한 2달은 미룬 것 같은 블로그 작성... 팀원들에게 면목이 없네요 하핫. 어찌저찌 시작합니다!이번 글에서는 기획 단계에서 개발자들과 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서비스블루프린트 혹은 서비스 청사진이라고도 하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서비스 블루프린트(Service Blueprint)란?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서비스 블루프린트(혹은 서비스 청사진)는 고객 관점에서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문서로, 서비스를 생산하고 제공하는 데에 필요한 모든 활동과 절차를 구상해놓은 계획을 도식화한 것입니다.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주로 서비스 운영, 설계 및 관리에 사용됩니다.고객 경험의 플로우를 나타낸 고객 여정 지도(Customer Journey Map)도 있지.. [팀 껌딱지] 운영 DB에 변경 쿼리 날릴 땐 꼭 트랜잭션을 사용해 줘요 시작하며안녕하세요! 껌딱지 개발팀에서 기술 리드이자 백엔드 파트 리드 및 개발을 맡고 있는 BackEnd 개발자 종하입니다! 오늘은 동아리 기수가 정식으로 시작되고 벌써 3번째 정규 경기를 가지면서 여러 경고 정산이나 많은 상황에서 수동으로 DB에 쿼리를 날려서 상태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상황이 있었습니다.. (완벽하지 못한 개발로 인한..인 듯..)여하튼 실제로 운영 중인 데이터베이스에 잘못 날리는 업데이트 쿼리는 엄청난 영향을 불러올 수도 있기 때문에 쫄리는 마음에 열심히 cli로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법을 찾아와서 야무지게 사용하고 여러분들에게도 공유해 드리려고 합니다! 트랜젝션이 뭐야?일단은 트랜젝션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는 시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개인 블로그에 간단하게 정리한 글을 보면.. [팀껌딱지] 당신의 고객은 누구인가? 러셀 브런슨이 알려주는 마케팅 퍼널 설계의 비법 안녕하세요. 팀껌딱지의 차주석입니다 당신의 프로덕트/서비스를 사용해야 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그리고 그분들은 어디에 있을까요? 만약 우리가 우리의 고객이 누구인지 알고 어디있는지 알고 있다면 어떻게 설득을 해서 저희 프로덕트/서비스를 이용하게 만들까요? 러셀 브런슨은 ClikFunnels의 공동창업자로서 어렸을 때 부터 광고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온라인 창업가로서 여러 성공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작가가 아니라 온라인 마케팅에 저명한 전문가로서, 수많은 기업들이 판매 과정을 간소화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그는 온라인 창업가들의 위한 지침서로 라는 책을 만들게 되는데요. 온라인 비즈니스를 하는 모든 이들을 위해 어떻게하.. [팀 껌딱지]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테스트 코드의 필요성과 활용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팀 껌딱지에서 백엔드 개발을 공부중인 건우입니다. 저는 그동안 개발을 해오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이유가 뭘까?"라는 의문이 자주 들었습니다. 동일한 코드를 두 번 작성하는 것이나, 테스트 코드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이 불필요하다고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업들이 테스트 코드 작성을 개발자에게 요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고,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면서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스트 코드가 정확히 무엇이며, 왜 그렇게 중요한지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테스트 코드란? 기능 개발 시 작성한 코드에 문제가 없는지 테스트하기 위해 작성하는 코드입니다. 테스트 코드를 왜 작성해야 하는가? 1. 리팩토링 지원 코드의 품질 향상을 위해 리팩토.. [팀 껌딱지] 백엔드 개발자가 꼭 알아야 하는 클라우드 핵심 개념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팀 껌딱지에서 백엔드 파트를 맡고 있는 아영입니다. 오늘은 요즘 제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클라우드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 핵심 개념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해요. 클라우드 컴퓨팅은 현대 개발 생태계에서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핵심 기술 중 하나입니다. 백엔드 개발자들에게 있어서, 클라우드는 확장성, 유연성, 그리고 빠른 개발 주기를 가능케 하는 혁신적인 도구로 부상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클라우드의 핵심 개념을 깊게 파헤치고, 백엔드 개발자가 클라우드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개념 클라우드 컴퓨팅은 On-Demand 리소스 제공, Self-Service, Broad Network Access, Resource Pooling, Ra.. [팀 껌딱지] Pinpoint APM으로 백엔드 트랜잭션 모니터링하기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껌딱지 개발팀에서 기술 리드이자 백엔드 파트 리드 및 개발을 맡고 있는 BackEnd 개발자 종하입니다! 최근에 많이 바빠서 제 업로드 차례가 좀 밀렸는데 ㅠㅠ 밀린만큼 좋은 글 쓰고자 재밌는 주제 가져왔습니다. 오늘은 모니터링의 꽃, APM에 대해서 가져왔습니다. 네이버에서 개발한 Pinpoint에 대해서 말이죠! APM이 뭐야? APM 생각보다 익숙한 단어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스타 용어나 Apache + Php + Mysql 스택도 APM으로 부르죠 하지만 오늘 알아볼 APM은 시간 데이터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최종 사용자의 디지털 경험을 추적하는 관행이라고 합니다! Pinpoint APM에 대해서 알아보자! Pinpoint APM은 네이버에서 직접 개발한 APM..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