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3)
Spring Bean 수동/자동 등록 (Feat.BeanConfig & Spring IoC 컨테이너) 들어가며안녕하세요!이번에 퇴사 후 약 2달간의 휴가를 마치고 돌아온 백엔드 파트 오일우라고 합니다.백엔드 파트리더 종하가 초기구성한 OASIS 프로젝트를 차근차근히 분석해 나가면서 회원가입/로그인기능을 구현해 나가고 있는데요.원래는 전에 회사에서는 레거시 형태의 소스들을 많이 다루었었고, 일에 쫓기다 보니 스프링에서 당연하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나 스프링 내부에서 돌아가는 원리들을 크게 생각하지 않고 기능 개발에만 집중했었습니다.그래서 이번에는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이전에는 그냥 지나치고 넘어갔던 궁금증과 모르는 단어와 개념들을 잘게 쪼개나 가면서 파악해 가며 개발을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본론그래서 처음으로 눈에 들어온 부분이 `BeanConfig` 였는데요.우선 @Bean을 등록한다는 의미는 스프링에..
고객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개요.안녕하세요. 팀 껌딱지에서 백엔드파트를 맡고 있는 건우입니다. 오늘은 백엔드 파트에서 고객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기획과 개발 단계에서는 새로운 고객을 유입시키거나 기존 고객이 다시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이후 서비스를 운영할 때 고객 만족도와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저의 생각은 서비스가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고가용성(HA)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입니다.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고가용성의 의미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인 이중화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고가용성 (High Availability).우선 가용성이 무엇일까요?가용성(可用性, 영어: availability)이란 서..
[팀 껌딱지] 우리 팀은 티켓 주도 개발을 이렇게 사용해요! 시작하며안녕하세요! 껌딱지 개발팀에서 기술 리드이자 백엔드 파트 리드 및 개발을 맡고 있는 BackEnd 개발자 종하입니다! 오늘은 다들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티켓 주도 개발에 대해서 얘기 해보고자 합니다.티켓 주도 개발이란 이슈 트래커에서 티켓을 발급하고 그 티켓에 작성된 스펙에 맞춰 개발하고 커밋 내용에 티켓 번호를 입력하는 등 티켓과 개발 결과물을 직접적으로 연결 짓는 개발 방식입니다.  하지만 이 티켓 주도 개발도 팀 별로 각각 다양하게 각자의 팀에 맞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데요, 저희 팀에서는 티켓 주도 개발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공유하려고 합니다!개발이 하고 싶어? 티켓부터 발급해!저희 팀은 Jira라는 이슈 트래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개발을 하기 전에 지라에 들어가서 티켓부터..